사진이야기 468

'눈이 하는 말'

야생동물의 눈을 가만히 들여다 본 일이 있습니까? 전남 구례에 있는 야생동물의료센터를 다녀왔습니다.(9월23일자 포토다큐) 부상당하거나 어미 잃은 야생동물이 구조돼 들어와 치료·재활을 하는 곳입니다. 그곳에서 찍어온 사진을 고르다 다시 한 번 야생동물들의 눈을 응시하게 됩니다.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서 야생동물을 찍을 수 있어 마주치는 눈을 바라보기도 했었지요. 사람 사진도, 동물 사진도 눈에다 포커스를 맞춰 찍는다는 당연한 사실을 새삼 깨닫습니다. 동물의 눈이 잘 보이는 사진 몇 장 모았습니다. 문득 ‘저 반짝이는 눈이 무슨 말을 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어떤 슬픔 같은 게 읽힙니다. 이러저러한 이유로 크고 작은 상처를 입은 동물들이어서겠지요. 크게 다친 동물들의 폐사율이 높다고 하니, 아마 ..

사진이야기 2017.09.26

낯설게 카메라를 본다

김선우 시인이 쓴 책 ‘김선우의 사물들’(단비)을 읽다가 19번째 사물 ‘사진기’에 대한 글에 유독, 아니 당연히 관심이 쏠렸습니다. 시인의 눈에 사진기란 어떤 것일까. 굳이 ‘사진기’라고 쓴 것은 ‘카메라’라고 했을 때 떠올려지는 다양한 기계를 배제한 채 아날로그적 감성 유지를 위함이 아닐까 추측합니다. “……탁자 위에 올려둔 사진기 렌즈와 무심하게 눈이 부딪혔나 보다. 커다랗고 둥근 눈, 맑고 깊지만 심중을 헤아릴 수 없는 건조한 광택을 지닌 눈이 나를 빤히 바라보았고……그는 좀체 자신의 표정과 체온을 들키지 않는다. 방금 전까지 내 손 안에서 외부를 향해 뜨거운 시선을 던지던 사진기는 손에서 놓여나 탁자 위에 섬처럼 앉은 순간 자신의 내부를 향해 오래도록 면벽한 자의 얼굴로 돌변한다. 그는 손안에서..

사진이야기 2017.09.06

바람으로 오는 가을

기분 좋은 바람이 불고, 하늘은 높아졌습니다. 이런 때 '어디론가 훌쩍 떠나고 싶다'는 것은 인간 유전자에 새겨져 있으리라 짐작합니다. 맨 처음 누가 그런 생각을 했을까 난데없이 궁금해집니다. 막상 선선한 바람이 와 닿으니 지난 무더위에 왜 그리 짜증을 냈었는지 무안하고 뻘쭘해지기도 합니다. 연일 비가 내리다 모처럼 파란하늘이 드러나자, 이를 사진에 담기 위해 한강으로 향했습니다. 한강공원으로 내려서니 그새 구름이 하늘을 넓게 차지했습니다. 하지만 구름은 높았고 그 사이로 살짝 보이는 하늘은 파랬습니다. 지난해 기억을 더듬어 공원에 핀 코스모스를 찾았습니다. 어떤 이는 코스모스가 여름부터 피니 가을의 상징이라는 말에 고개를 갸웃거립니다만, 가장 절정인 계절이 가을이니 마땅히 가을꽃이라 해야지요. 높은 하..

사진이야기 2017.08.31

폴라로이드 카메라를 든 혜윤씨

혜윤씨가 눈에 띄었습니다. 묵직한 디지털카메라와 앨범 사진을 펼친 나이 든 사진사 아저씨들 사이에서 가벼운 폴라로이드 카메라를 든 젊은 여성이었기 때문입니다. 경희대 후기 졸업식장. “폴라로이드 사진 찍으세요~” 혜윤씨가 외쳤습니다. 인파 속에서 빠른 걸음으로 사라졌다 나타나곤 했습니다. 즉석사진을 내밀 때마다 활짝 웃는 모습이 보기 좋았습니다. ‘어떤 사연이 있을까.’ 졸업식장에선 낯선 폴라로이드 카메라를 든 이유가 궁금했습니다. 뭣이 됐든 가벼운(?) 온라인 기사 하나 쓸 수 있지 않을까 했습니다. 폴라로이드 사진은 생각보다 인기였습니다. 다시 인화할 수 없는 이 세상 단 하나뿐인 사진이라는 매력때문일까요. 혜윤씨는 이 대학에서 사회학을 전공하는 2학년 학생이었습니다. 전화 통화에서 그녀는 “뭐라도 ..

사진이야기 2017.08.22

드론에 욕해 보셨나요?

1분쯤이라고 체감했지만 그보다 좀 더 길었을 지 모르겠습니다. 짧은 시간동안 죄어오는 압박에 심장이 쪼그라들고 아마 피가 좀 말랐을 겁니다. 녹조를 찍기 위해 높이 띄워 올린 드론에 배터리가 부족하다는 사인이 떴습니다. 조종기에 연결한 휴대폰 어플이 번쩍이며 요란을 떨었습니다. 당황했습니다. “급하면 홈버튼을 눌러라”는 경험자의 조언도 기억나지 않았습니다. 올라가는 속도에 비해 하강 속도는 느린데다, 급한 마음이 더해지니 어찔할 줄 몰랐습니다. 경고음이 울리기 시작했고 드론은 여전히 멀었습니다. 공중에서 곧 터져버리기라도 할 것 같은 긴박함을 이 기계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알리고 있었습니다. 조종기 레버를 쥔 손가락에 힘을 잔뜩 주었습니다. 세게 당기면 빨리 내려올 것도 아닌데 말이지요. 잔여 배터리 5..

사진이야기 2017.08.14

빗방울이 우주다

지금 충청도엔 비가 내립니다. 취재차량 안에서 비가 그치기를 기다립니다. 비가 완전히 멈춰야 시도할 수 있는 사진이지요. 오후 1시가 넘었습니다. 조금 전 점심으로 짜장면을 먹는 동안 비가 그쳐 살짝 산책 후 찍어볼까 했더니 다시 비가 내립니다. 아침부터 차에 앉아 차창을 때리는 비를 바라봤습니다. 창에 맺히는 빗방울을 깊이 들여다보는 것이 참 오랜만입니다. 몸에 수분이 부족하게 되면 물을 보충하듯, 본의 아니게 ‘길게 바라봐야하는 비’는 내게 부족한 '무엇'을 채우려는 것일까 생각합니다. 작은 빗방울들이 주위의 자연을 품었습니다. 빛을 받은 무수한 물방울이 반짝이는 게 ‘별’ 같습니다. 물방울이 부풀어 차창을 타고 흘러내릴 때 긴 꼬리를 끌며 떨어지는 ‘유성우’를 떠올립니다. 유성이 비고 비가 유성인 ..

사진이야기 2017.08.09

제주의 바람이 된 김영갑에 빠지다

사진가 김영갑(1957-2005)의 에세이 (휴먼 앤 북스, 2015)를 읽었습니다. 그의 사진과 삶을 살짝 알고 있었습니다만, 그가 자신의 이야기를 써내려간 책을 읽는 동안 그의 삶과 사진에 빠져들었습니다. 김영갑은 스스로를 고독과 외로움 속으로 밀어 넣은 사람입니다. 오직 사진만을 생각하도록 삶을 몰아붙였습니다. 좋은 사진은 그러한 조건에서 건질 수 있다는 듯 말이지요. “(사람과) 어울리면 혼란스러워진다”고 말하는 그는 사람보다 “사진에 몰입해 있는 시간이 즐겁다”고 했습니다. 스스로 무료함을 끌어안고, 그 무료함을 극복하기 위해 사진에 푹 빠져든 것이지요. 그는 구도자와 같은 삶을 살았습니다. 사진은 수행의 도구였지요. “밑 빠진 독에 물 채우는 나를 보고 사람들은 정신 나갔다고 혀를 찬다. 그래..

사진이야기 2017.07.18

빛바랜 사진이 '중심'을 묻는다

카메라 등을 넣어둔 개인 장비 캐비닛 앞에 붙어있는 제 사진이 새삼 눈에 들어왔습니다. 2004년 초 태백의 한 탄광의 갱도입구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같은 자리에 적어도 10년 이상은 붙어있었을 텐데 한참 들여다보기는 처음이었지요. 등잔 밑이 어둡고 곁에 있는 사람이 귀한 줄 모르는 것과 같은 이치랄까요. 캐비닛이 바뀌고 또 다른 공간으로 옮겨질 때도 이 사진은 꼬박꼬박 챙겨 그 자리에 붙였습니다. A4지에 출력한 사진인데 빛이 많이 바랬습니다. 세월이 한 장의 종이에도 내려앉았습니다. 컬러사진으로 기억하는데 색이 빠져나갔는지 흑백사진으로 보입니다. 옛 기억은 흑백이어야 한다는 것처럼 말이지요. 그간 한 번도 떠올리지 못했던 그림 속 상황이 떠올랐습니다. 갱도 끝 막장까지 내려갔다 막 올라 왔었지요. 저..

사진이야기 2017.07.08

우병우, 의문의 1패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국정농단’ 묵인 혐의 등으로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2차 공판에 출석했습니다. 우 전 수석은 차가운 표정으로 법원에 들어섰습니다. 질문을 하는 기자에 대답 없이, 시선도 주지 않은 채 법정으로 향했습니다. 그 특유의 ‘노려봄’도 없었습니다. 사진 데이터를 보니 3층 법정으로 이어지는 계단으로 모습을 감출 때까지 30초쯤 걸렸습니다. 늘 그렇듯 긴 기다림에 비해 허무한 취재지요. 카메라를 내려놓자마자 노트북을 펼쳐 '우병우 출석' 사진을 마감하던 한 후배가 말했습니다. “비교되네. 양복을 입어도 저렇게 다를 수가 있나.” 비교의 대상이 있다는 얘기지요. 두어 시간 앞서 대마초를 피운 혐의를 받고 있는 그룹 ‘빅뱅’의 탑(최승현)이 그 자리에 섰다가 법정으로 들어섰습니다. 청년 ..

사진이야기 2017.06.30

'사람만 한 우럭이 있습니까?'

지난 18일 사진입니다. 낚시꾼들이 한가로이 고기를 낚고 있습니다. 뒤로 옅은 안개에 싸인 고리 원전이 보입니다. 낚시꾼과 어민들의 배가 수시로 원전 앞바다로 향했습니다. 방파제 위에 낚싯대를 드리운 이들이 많았습니다. 그 주변으로 밤을 샌 흔적들이 즐비했었지요. 고리 1호기 영구정지를 앞두고 출장 여부를 결정할 때 옆자리 후배의 말이 떠올랐습니다. “거기 앞바다에 사람만 한 우럭이 잡힌다던데요.” 원전에서 데워진 물이 바다로 흘러들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들을 때 웃어넘겼던 그 말의 뜻이 새삼 궁금해졌습니다. 원전 앞바다가 따뜻해 고기가 잘 자랄 환경이라는 말인 지, 원전에 의한 어떤 오염(방사능 등)을 전제한 말인 지, 그냥 풍문이자 우스갯소리인 지를 분간할 수 없었습니다. 다음날인 19일. 고리원자력..

사진이야기 2017.06.24